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9

전기차 급전 방법 설명 특징에서 언급했다시피 현재 전기자동차가 넘어야 할 가장 큰 벽은 효과적인 전원의 구현이다. 전동기는 이미 지난 수십년간 매우 높은 완성도로 충분히 성숙하였으며, 전동기 제어기술도 수 메가와트 급의 전동차까지 전자식 운용이 가능할 정도로 우수하다. 때문에 전기자동차를 분류하는 기준으로 전원을 뭘 쓰느냐가 가장 많이 사용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아예 이름까지 바뀌기도 한다. 대표적인 예시로, 수소자동차는 일반적으로 수소연료전지차를 말하는 것인데 이 수소연료전지 자동차도 수소를 전기로 바꿔서 그 전기로 모터를 구동하므로 결국 전기자동차의 일종이다. 현재는 전기자동차가 상용화 되는 과정에서 테슬라 사의 유명세,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기존 내연기관 체제에서 전기 동력을 활용하려는 노력 등등 여러가지 이유로 배터리.. 2023. 4. 19.
전기차 설계는 얼마나 편하지? 내연기관은 갈수록 각국 정부의 환경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데 차를 팔려면 소비자의 기대치를 충족시킬만한 연비와 성능은 달성해야 하므로 갈수록 내연기관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있다. 이로 인해 엔진설계와 제조기술이 아무리 뛰어나다 해도 엔진룸의 크기가 커지는 것은 어쩔 수가 없어서 점점 합리적인 설계가 어려워지고 있고 친환경 압박으로 인해 DPF나 요소수 등의 유지보수 비용도 점점 추가되는 추세다. 2023. 4. 19.
전기차의 유지보수 측면 이야기 내연기관 차량은 연료공급, 동력변환, 매연배출까지 복잡한 화학반응 제어와 동력변환을 위해 필요한 부속이 매우 많다. 대충 훑어봐도 연료필터, 연료펌프, 흡기필터, 터보차저, 타이밍샤프트, 타이밍벨트, 냉각기, 엔진, 점화플러그, 인젝터, 배기관, 머플러, DPF, 알터네이터 등등 말만 들어도 두통을 유발하는 물건들이 산더미처럼 들어가고 이러한 기계 시스템을 원활하게 작동시키기 위해서 엔진오일, 미션오일 등등의 각종 윤활유와 많은 정비를 필요로 한다. 그리고 이런 산더미 같은 정비를 하는데 필요한 시간과 비용은 전부 운전자가 책임지고 떠맡아야 하며 여기에 드는 비용과 폐오일로 인한 공해발생량도 만만치가 않다. 하지만 전기자동차는 일단 동력계통의 구성부터가 모터, 모터드라이버, 전원으로 매우 단순하고 그나마.. 2023. 4. 19.
전기차의 제어 성능 이야기 현대에 개발되는 전동기들은 모터 드라이버라는 전용회로의 전자제어를 받으므로 내연기관에 비해 제어가 쉽고 반응이 신속하며 출력 예측도 손쉽게 가능하여 모터의 성능을 어떤 조건에서든 일관성 있게 보장할 수 있다. 모터 드라이버는 아예 설계부터 모터의 특성을 고려하여 최적의 성능을 내도록 제작되며 내부적으로도 여러가지 제어변수를 1초에 수만 번씩 실시간으로 피드백 받아 계산하고 제어하므로 외란에도 강하다. 그래서 차량의 속도 및 토크제어와 회생제동이 대단히 쉽고 빠르며 매우 정확해서 말도 안되는 수준의 트랙션 컨트롤도 무리없이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모터 드라이버에 올라가는 펌웨어도 온라인으로 업데이트가 가능하므로 사후관리 또한 편리하다는 장점도 있어서 업데이트를 통해 차량 성능이 향상되는 사례도 있다. 이런.. 2023. 4. 19.